[iOS/꾸준 회고] Lokalise 도입을 위한 Localizable 문자열 정리 (feat. 쉘 스크립트)
서론제가 개발 중인 앱에는 다국어를 지원합니다. 총 영어(en), 일본어(ja), 터키어(tr), 스페인어(es) 총 4개의 다국어를 지원하고 있어요.그래서 Localizable.strings로 다국어를 키-문자열 쌍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아래에서 설명할 이유들로 Lokalise 서비스 도입을 결정했고, 이 과정에서 도입을 위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개선한 경험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기존의 다국어 관리 문제기존 다국어 적용은 기획자가 각 클라이언트 개발자(iOS, Android, Web)에게 문자열을 전달해 줍니다.문자열을 받으면 각자의 방식으로 키를 정의하고 관리했죠. 이로 인해 기입 실수가 발생하면 클라이언트마다 다국어가 다른 경우가 생겼습니다. (특히 일본어는 한자라서 실수가 발생해도 알아차리기 어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