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꾸준 회고] 테스트 코드 작성과 구조 개선
·
iOS/개념 & 개발
서론이전 포스팅에서 테스트 코드의 필요성을 느꼈다는 글을 적었습니다. [iOS/꾸준 회고]테스트 코드 필요성과 테스트 쉬운 구조서론최근 테스트 코드와 관련된 많은 깨달음을 얻었습니다.테스트 코드의 필요성과 테스트하기 좋은 구조란 무엇인지, 그리고 왜 MVC 패턴에서 테스트가 어려운지를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테jeong9216.tistory.com이에 대한 최근 근황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흐려지는 동기테스트 코드가 아니어도 이미 많은 업무를 처리하다 보니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동기가 점점 흐려졌습니다. (외면하게 되었다는 게 맞겠네요... 🥲) 이 흐려지는 동기를 해결하기 위해 저는 테스트 코드 작성을 팀의 레벨로 올려서 진행했습니다.저희 회사는 1명이 프로젝트를 온전히 담당하는 구조라서 같은 프로..
[iOS/꾸준 회고]테스트 코드 필요성과 테스트 쉬운 구조
·
iOS/개념 & 개발
서론최근 테스트 코드와 관련된 많은 깨달음을 얻었습니다.테스트 코드의 필요성과 테스트하기 좋은 구조란 무엇인지, 그리고 왜 MVC 패턴에서 테스트가 어려운지를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테스트 코드 없이 앱 리뉴얼 하기최근 사내 앱의 UI 리뉴얼을 진행했습니다.기존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UI만 새롭게 구현하는 작업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동작 검증에 어려움을 느꼈습니다.기존 동작이 제대로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존 앱과 리뉴얼된 앱을 일일이 실행하며 비교해야 했습니다.테스트 코드가 있었다면 딸깍 한 번으로 검증이 가능했을 텐데... 많이 아쉬웠습니다. 작업 시간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부담도 상당했습니다."테스트 코드 없는 리팩토링은 도박과 같다"는 말이 있듯이 코드를 수정할 때마다 "이 수정이..
[iOS/꾸준 회고] 클린 아키텍처의 원... 그리고 의도를 보는 시야
·
iOS/개념 & 개발
클린 아키텍처 원 그림과 사용자 관점의 불일치최근 흥미로운 대화를 나눴습니다."iOS 개발할 때 클린 아키텍처의 원과 사용자 관점이 잘 안 맞는 것 같지 않나요?" 소프트웨어 개발자라면 한 번쯤은 접해봤을 클린 아키텍처의 유명한 원형 다이어그램에 대한 이야기입니다.이 다이어그램에서는 네트워크 계층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Presenter, Use Case, Domain 등이 안쪽에 배치되어 있습니다.하지만 실제 사용자 시나리오를 보면, 화면이 먼저 나타난 후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네트워킹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즉, 사용자 관점에서는 네트워크보다 Presenter나 UseCase를 먼저 경험하게 되는 것이죠. 물론 이 다이어그램이 잘못되었다고 할 순 없습니다.이렇게 널리 알려진 데에는 분명한 이..
[iOS/꾸준 회고] Lokalise 도입을 위한 Localizable 문자열 정리 (feat. 쉘 스크립트)
·
iOS/개념 & 개발
서론제가 개발 중인 앱에는 다국어를 지원합니다. 총 영어(en), 일본어(ja), 터키어(tr), 스페인어(es) 총 4개의 다국어를 지원하고 있어요.그래서 Localizable.strings로 다국어를 키-문자열 쌍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아래에서 설명할 이유들로 Lokalise 서비스 도입을 결정했고, 이 과정에서 도입을 위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개선한 경험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기존의 다국어 관리 문제기존 다국어 적용은 기획자가 각 클라이언트 개발자(iOS, Android, Web)에게 문자열을 전달해 줍니다.문자열을 받으면 각자의 방식으로 키를 정의하고 관리했죠. 이로 인해 기입 실수가 발생하면 클라이언트마다 다국어가 다른 경우가 생겼습니다. (특히 일본어는 한자라서 실수가 발생해도 알아차리기 어렵..
[iOS/꾸준 회고] UseCase 배워두길 잘했다
·
iOS/개념 & 개발
서론제 프로젝트에서는 대부분의 UseCase가 Repository와 ViewModel을 단순히 연결해 주는 역할만 하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코드였죠.struct FetchBooksUseCase { func execute() async -> Something { await repository.fetchBooks() }}이런 구조 때문에 저는 종종 "과연 이 상황에 UseCase가 정말 필요할까?" 하는 의문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최근 UseCase를 정의한 것이 매우 적절했다고 느낀 경험이 있었습니다.물론 이것이 엄청난 발견이나 깨달음은 아니었습니다. 다만, 인터넷에서 자주 언급되는 "UseCase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직접 체감하고 경험했다는 점에서 작은 감동을..
[iOS] UIPageViewController 크래시 해결 과정 (The number of view controllers provided (0) doesn't match the number required (2) for the requested transition)
·
iOS/개념 & 개발
UIPageViewController 크래시 분석UIPageViewController를 사용하는 앱에서 높은 비율로 크래시가 발생했습니다.The number of view controllers provided (0) doesn't match the number required (2) for the requested transitionThe number of view controllers provided (0) doesn't match the number required (1) for the requested transitionUIPageViewController에 제공하는 UIViewController의 개수를 제대로 컨트롤하고 있었기 때문에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UIPageViewControl..
[iOS] Unit Test를 GitHub Actions로 자동화하며 겪은 에러 해결 과정
·
iOS/개념 & 개발
Unit Test 자동화GitHub Actions를 활용하면 Xcode에서 작성한 Unit Test를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습니다.PR을 생성할 때, push를 할 때 등의 액션이 발생하면 Unit Test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Test 편의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챙길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GitHub Actions로 자동화하며 겪은 에러저는 GitHub 안에서 개인 프로젝트 사이클을 돌리고 싶었기 때문에 GitHub Actions를 선택하였는데요.쉽게 가능할 줄 알았지만, 많은 에러를 겪었습니다. 고군분투의 흔적 ;;결과론적인 이야기지만, 앞에서부터 차근차근 살펴봤다면 쉽게 해결했을 텐데... 반성합니다 🥲성공한 Workflow는 최하단에 있으니 최종 결과만 필요하시면 쭉 내리시면 됩니..
[iOS] DTO의 Optional 속성과 앱의 하위 호환성 고민 (결론 없음 주의)
·
iOS/개념 & 개발
* 혼자 고민한 과정을 기록 목적으로 적은 포스팅입니다. 읽기 전 참고 부탁드립니다 :) DTO DTO는 서버와 통신하는 API의 데이터를 디코딩, 인코딩하기 위한 객체입니다. { "id": 1000, "name": "다이어트", "continued": 10, "lastChallenged": "2011-04-10T20:09:31Z" } 가령 API로 오는 데이터가 위와 같다면, struct CategoryDTO: Codable { let id: Int let name: String let continued: Int let lastChallenged: Date } CategoryDTO는 id, name, continued, lastChallenged 속성을 가지게 됩니다. 이때 각 속성은 Non-옵셔널이 ..
[iOS] ProxyMan 설치부터 Response 관찰까지
·
iOS/개념 & 개발
서론 앱을 개발할 때 서버와 API 통신을 자주 합니다. API 통신 개발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디버깅을 위해 Postman, Swagger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Postman, Swagger도 좋은 방법이지만, 실제 내 앱이 어떤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if let requestBody = urlRequest.httpBody, let requestBodyString = String(data: requestBody, encoding: .utf8) { print("[요청 데이터]\n\(requestBodyString)") } if let responseBody = try? encoder.encode(body), let responseBodyString = String(dat..
[iOS] XCTest에서 비동기 테스트하기 (XCTestExpectation)
·
iOS/개념 & 개발
서론 UnitTest 사용해보기와 XCTest 성능 측정 (Command Line 환경)에서 UnitTest를 하는 방법과 성능 측정 방법을 다뤘습니다. 이전에는 동기 메서드만 테스트만 다뤄서 이번에는 비동기 테스트에 대해 말해보려고 합니다. 대부분의 앱에는 네트워크 통신이 필요합니다. 네트워크 통신은 오래 걸리는 작업이기 때문에 반드시 비동기로 처리해야 합니다. 같은 이유로 네트워크 테스트도 비동기로 테스트해야 하며, 다른 동기 테스트와 분리해야 합니다. 비동기 테스트 비동기 메서드를 동기 테스트 코드와 똑같이 테스트하면 제대로 테스트할 수 없습니다. 비동기 메서드의 결과가 나오기 전에 테스트 함수가 종료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동기 메서드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작업이 필요한데요. 이를 위해 XC..
유정주
'iOS/개념 & 개발'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