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 의존성 주입 DI(Dependency Injection)와 IoC(Inversion Of Control)
·
Swift/개념 & 응용
서론 SOLID 원칙 with Swift의 D를 담당하고 있는 의존성은 중요한 개념입니다. 객체 지향에서 객체의 의존성은 빼놓을 수 없는 개념이고, 결합도와 응집도에서 다룬 낮은 결합도의 핵심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의존성과 의존성 주입의 개념 자체는 간단하기 때문에 짧게 다뤄보겠습니다. Protocol을 이용한 ViewModel 의존성 주입 등 지난 여러 포스팅들에서 간접적으로 소개한 적이 있기 때문에 함께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OvO b 의존성 의존성이란 하나의 객체에서 다른 객체를 참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class AClass { var number: Int = 0 } class BClass { var numberClass: AClass = AClass() } let bClass = BClass..
[Swift] Protocol을 이용한 ViewModel 의존성 주입
·
Swift/개념 & 응용
* 초보 개발자의 학습 내용이므로 잘못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점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정말 도움이 많이 됩니다. 필요성 MVVM에서는 ViewController가 ViewModel에 의존하고 있는 구조가 많습니다. 코드로 표현하면 class ViewController { var viewModel = ViewModel() ... } 이렇게 ViewController 내부에서 ViewModel을 직접 생성하는 구조입니다. 이런 구조는 ViewModel이 없으면 ViewController를 테스트할 수 없고, ViewController 재활용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스트를 보여주는 ViewController가 있다고 합시다. 이 리스트는 영화 리스트가 될 수도 있고, 맛집 리스트..
유정주
'의존성 주입' 태그의 글 목록